미국 증시 마감 시황
미국 주식시장은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168.38 (-0.37%) 하락한 44,546에 마감했으며, 나스닥 지수는 81.13 (0.41) 상승한 20,026에 마감했으며, S&P500 지수는 0.44 (-0.01%) 하락한 6,114에 하락 마감했다.
국내 증시
국내증시는 코스피/코스닥 모두 상승세로 마감했다. 코스피는 전일보다 7.88 (0.31%) 상승한 2,591에 마감했으며, 코스닥은 전일보다 7.04 (0.94%) 상승한 756에 상승 마감했다.
K-방산은 떠오르는 우리 수출 효자 종목인데 정치권에서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방산 수출 지원 약속에 나서고 있다. 올해 역대 최대 수출 성과가 예상되는 가운데 방산업계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정국 불안 리스크는 극복해야 할 과제다.
정국 불안 리스크 속 한자리에 모여 K-방산 지원에 인공지능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3조 원 이상을 투자하는 등 수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와 국회가 모두 나서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다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당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육성을 약속 했다
방산 수출은 현지 생산과 기술 이전 등 예민한 사안을 조율하는 정부의 역할이 다른 산업보다 크게 작용하는 만큼 정치적 안정성과 대외신뢰도가 중요하다. 때문에 정부의 빠른 안정이 무엇보다 선행돼야 할것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유럽 방위비 증가 등에 따른 방산 강국들의 견제를 뿌리치고 세계 4대 방산 강국 도약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주목 되고있다.
환 율
원/달러 환율은 하락 중이며, 원/엔화 환율은 상승 중이다
미국 국채 금리
미국 10년/2년 만기 국채금리는 모두 하락 중이다.
개별 주식 뉴스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NYSE: : SMCI)
한국 국민연금공단(NPS)은 2023년 4분기에 미국 주식 보유 포트폴리오를 조정했다. 슈퍼마이크로 컴퓨터(SMCI) 주식에 새롭게 투자했고, 팔란티어(PLTR)와 타겟(TGT) 지분을 늘렸다. NPS는 949,220주의 슈퍼 마이크로 주식을 매입했으며, 9월 말에는 보유하지 않았던 종목이다.
슈퍼 마이크로는 2023년 변동성이 큰 주식으로, 연초 대비 300% 이상 상승했으나 11월에 40% 하락하며 큰 폭의 등락을 기록했다.공매도 리포트이후 슈퍼 마이크로의 회계 문제와 관련해 비판 보고서를 발표했고, 이는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슈퍼 마이크로는 나스닥 상장 유지 문제와 감사 기관 교체 등 어려움을 겪었으나, 11월 새로운 감사 기관을 확보하며 상황을 반전시켰다.
NPS는 팔란티어 주식도 190만 주 추가 매입해 총 490만 주를 보유하게 됐다. 팔란티어는 2024년 S&P 500 및 나스닥 100 지수 편입으로 주가가 크게 상승했다. 팔란티어주식은 2024년 340.48% 급등했고, 2025년 현재까지 47% 추가 상승했다.
NPS는 2023년 말 기준 7,200억 달러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슈퍼 마이크로와 팔란티어는 기술 관련 종목으로 변동성이 크지만, NPS는 이들 종목에 대한 투자를 확대했다. NPS는 투자 변동에 대한 구체적인 논평을 하지 않았다.
슈퍼 마이크로는 2025년 현재까지 주가가 19% 상승하며 S&P 500 지수 대비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NPS의 투자 전략은 변동성 큰 기술주를 포함해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 가상자산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검토 중이며, 이는 비트코인 ETF 승인보다 장기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코인셰어즈가 분석했다.
미국은 비트코인과 행정명령 두 가지 방식으로 비트코인 비축을 논의 중이다. 비트코인법은 5년간 100만 BTC를 매입해 20년간 매각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나, 정치적 난관이 존재한다. 행정명령은 재무부가 보유한 비트코인을 확보하고, 외환안정기금(ESF)으로 21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하는 방안이다.
행정명령은 빠르게 실행 가능하지만, 차기 정부에 의해 철회될 위험이 있다. 미국의 비트코인 비축 움직임은 각국 정부의 비트코인 비축 경쟁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엘살바도르, 브라질, 러시아, 폴란드, 아르헨티나, 캐나다 등 여러 국가가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에 포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주요국 정부가 금 보유량의 5%를 비트코인으로 대체할 경우, 약 1,100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이 매입될 것으로 추산된다.달러의 글로벌 기축통화 지위가 약화되며, 비트코인이 가치 저장 수단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채택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비트코인 비축 채택은 비트코인의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상승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글로벌 경제 전반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은 법정화폐와의 경쟁에서 새로운 가치 저장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가 차원의 비트코인 비축은 글로벌 금융 질서에 큰 변화를 초래할 전망이다.
'미국 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14일 미국 증시 뉴스 마감 시황, 가상화폐 (72) | 2025.02.14 |
---|---|
2월 12일 미국 증시 뉴스 마감 시황, 가상화폐 (158) | 2025.02.12 |
2월 11일 미국 증시 뉴스 마감 시황, 가상화폐 (147) | 2025.02.11 |
2월 10일 미국 증시 뉴스 마감 시황, 가상화폐 (159) | 2025.02.10 |
2월 8일 미국 증시 뉴스 마감 시황, 가상화폐 (167) | 2025.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