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증시 시황

2월 4일 미국 증시 뉴스 마감 시황, 가상화폐

by 기린그림 2025. 2. 4.
반응형

미국 증시 마감 시황

미국 3대지수1일 지수차트


미국 주식시장은 트럼프의 멕시코 와 캐나데에 관세 1달 유예 소식에 장초반 큰폭의 하락세를 일부 만회 하면서 3대지수 모두 하락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122.75 (-0.28%) 상승한 44,421에  마감했으며, 나스닥 지수는 235.48 (-1.2) 하락한 19,391에 마감했으며, S&P500 지수는 45.96 (-0.76%) 하락한 5,994에 하락 마감했다.

 

국내 증시

코스피/코스닥 1일 지수차트

 

국내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소속에 코스피/코스닥 모두 크게  하락  마감했다. 코스피는 전일보다 63.42 (-2.52%)  하락한 2,453에 마감했으며, 코스닥은 전일보다 24.49 (-3.36%)  하락한 703에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글로벌 증시가 동반 하락했다. 국내 증시도 큰 타격을 입어크게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25%,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전쟁의 서막을 열었다. 이에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을 우려가 커졌다.

 

아시아 주요 증시도 일제히 하락했으며,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2.66%, 대만 가권지수는 3.53%, 홍콩항셍지수는 0.6%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14.5원 오른 1467.20원에 마감하며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다. 관세 부과로 인한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가능성에 비트코인 가격도 10만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부과가 일시적일 가능성을 제시하며, 코스피의 낙폭이 과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400포인트 이하는 절대적 저평가 영역"이라며, 조선, 방산, 원전 등 트럼프 수혜주에 대한 비중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환 율

원 달러/엔화 환율 1일 가격차트

원 달러/엔화 환율은 트럼프의 보복 관세 소식에 모두 상승 중이다

 

미국 국채 금리

미국 10년/2년 만기 국채금리 1일 가격차트

미국 10년 국채금리는 하락 중이며, 2년 만기 국채금리는 상승 중이다.

 

개별 주식 뉴스

브로드컴  (NYSE: : AVGO)

브로드컴 6개월 주가차트

브로드컴 (AVGO) 주식이 딥 시크발 하락후 상승폭 키우고있다. 이 회사는 메타 플랫폼에 의해 칩 설계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메타 CEO 마크 저커버그는 수요일 거래 종료 후 소셜 미디어 회사의 수익 보고서와 함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장기 투자로 수천억 달러를 약속했다.


메타의 AI 인프라의 중요한 구성 요소는 MTIA 칩으로. 최초의 MTIA 칩은 2023년에 출시되었으며, 브로드컴과 공동으로 개발되었다. 우리는 우리만의 워크로드에 맞게 칩을 최적화함으로써 컴퓨팅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영역에 맞춤형 MTIA 실리콘을 배치함으로써 비 용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다.라고 메타의 최고재무책임자 수잔 리는 애널리스트와의 어닝 콜 컨퍼런스에서 말했다.


특히, 수잔 리는 MTIA 칩이 AI 프로세서 분야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의 전문 분야인 그래픽 처리 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부 서버에서는 AI 훈련을 강화하기 위해 확장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커스텀 칩은 훈련보다는 주로 모델에서 답이나 결 과를 생성하는 과정인 추론에 주로 사용되었다.
브로드컴만이 거대 기술 기업들이 커스텀 칩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유일한 회사는 아니다. 보도에 따르면, 마벨 테크놀로지는 마이크 로소프트와 협력하여 애저 미다아 AI 악셀러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비트코인, 가상자산

암호화폐시장이 최근 도지코인 ETF, 솔라나 ETF, 밈코인 ETF 열풍으로 활기를 띠고 있다. 이 가운데 리플(XRP)의 ETF 승인 가능성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폴리마켓의 베팅에 따르면 XRP ETF 승인 확률은 2025년까지 8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비트와이즈, 카나리 캐피털, 위즈덤트리, 21셰어스등 주요 자산운용사들이 XRP ETF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레이스케일도 XRP 신탁을 ETF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바이든 행정부와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 체제에서는 XRP ETF 승인 가능성이 낮았지만, 새로운 리더십의 등장으로 분위기가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확정 후 XRP를 포함한 다수의 암호화폐 ETF가 시장에 등장할 가능성이 커졌다.

 

시장 참여자들은 XRP의 ETF 승인 가능성에 지속적으로 베팅하고 있다. 1월 내내 폴리마켓 사용자들은 60% 이상의 확률로 XRP ETF 승인을 점쳤다. 이번 리플과 SEC 간 법적 분쟁이 2025년 3월까지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XRP ETF 승인에 대한 기대감도 상승하고 있다.

 

일부 분석가들은 2017년과 유사한 시장 흐름을 보이며 당시 2900% 급등했던 패턴이 재현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러한 역사적 흐름이 반복될 경우, XRP 가격은 최대 99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

AI 기반 분석 모델인 딥시크는 XRP가 올해 말까지 30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ETF 승인 여부가 궁극적인 상승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반응형

댓글